알고리즘💻/스택&큐&덱

BOJ 1935번: 후위 표기식2

호프 2021. 1. 31. 19:12

www.acmicpc.net/problem/1935

 

1935번: 후위 표기식2

첫째 줄에 피연산자의 개수(1 ≤ N ≤ 26) 가 주어진다. 그리고 둘째 줄에는 후위 표기식이 주어진다. (여기서 피연산자는 A~Z의 영대문자이며, A부터 순서대로 N개의 영대문자만이 사용되며, 길이

www.acmicpc.net

아이디어: #스택

스택의 대표 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. 주어진 문자열을 돌면서 피연산자일 경우에는 push, 연산자일 경우에는 스택에서 두 개를 pop해서 연산을 한 후 값을 다시 push한다. 문자열을 모두 돌면 스택에 딱 한 값이 남고 그 값을 pop하면 답을 구할 수 있다.

 

파이썬에서는 스택 자료구조를 따로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list를 사용하여 구현한다. push는 append로, pop은 그대로 pop으로, top은 stack[-1]로 구현할 수 있다.

 

해당 문제에서 피연산자에 대응하는 값을 넣을 때, 아스키 코드값을 사용하였다. ord('A')를 쓰면 'A'의 아스키 코드 값을 구할 수 있다. 반대로 아스키 값에 chr(65)를 쓰면 65번에 해당하는 기호 A를 구할 수 있다.

 

그리고 소수점 둘째자리 까지 출력하는 방법으로 print('%.2f' % n) 을 사용하였다.

import sys
n = int(sys.stdin.readline())
st =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
num = []
for _ in range(n):
    num.append(int(sys.stdin.readline()))
#스택 사용
stack = []
for i in st:
    #피연산자인 경우 push
    if (ord(i)>=ord('A')):
        stack.append(num[ord(i) - ord('A')])

    #연산자인 경우
    else:
        p2 = stack.pop()
        p1 = stack.pop()
        if (i == "+"): stack.append(p1+p2)
        elif (i == '-'): stack.append(p1-p2)
        elif (i == "*"): stack.append(p1*p2)
        else: stack.append(p1/p2)
        
print('%.2f'% stack.pop())

파이썬에서 아스키 값을 서로 변환하는 방법과, 소숫점 아래 수를 출력하는 방법 기억하자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