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indow wsl2 환경에서 go를 설치해보자.
일단 terminal을 열어서 wsl2를 실행하고 home directory로 이동한 후에
여기 링크에서 Linux 파일의 주소를 복사한다.
지금 현재 주소는 "https://go.dev/dl/go1.18.linux-amd64.tar.gz" 이다. 그냥 마우스 우클릭해서 링크 복사하면 된다.
wget https://go.dev/dl/go1.18.linux-amd64.tar.gz # 복사한 링크 주소로 다운
sudo tar -xvf go1.18.linux-amd64.tar.gz # 압축 해제
sudo mv go /usr/local # 위치 이동
이렇게 하면 다운로드는 완료한 것이다. 다음으로 환경변수를 설정해주기 위해서
sudo vi ~/.bashrc
# .bashrc 에 아래 내용 작성 후 저장
export GOROOT=/usr/local/go
export GOPATH=$HOME/go
export PATH=$GOPATH/bin:$GOROOT/bin:$PATH
source ~/.bashrc # 변경내용 적용시키기 위한 명령어
그리고 echo $GOPATH 가 잘 나오고, go version 입력했을 때 버전이 제대로 뜨면 설치 성공이다.
MAC이나 WINDOWS에 설치를 하면 자동으로 GOPATH에 go 디렉토리가 생성이 된다던데, wsl2 에서는 생성이 되지 않는 것 같다. (일단 나는 그랬다.)
Go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GOPATH에 위치해야 하기 때문에, GOPATH에 해당하는 go 디렉토리를 만들어주고, 그 안에 src, pkg, bin 디렉토리도 각각 만들어준다.
user@LAPTOP-6LS4T0J4:~/go$ ls
bin pkg src
요렇게 나올 수 있도록..
앞으로 프로젝트는 src 폴더 안에서 진행할 것이다. Go는 도메인 별로 구분해서 코드를 정리하기 때문에 github.com 이라는 폴더를 다시 새로 생성해주고 그 안에 내 깃허브 아이디를 이름으로 한 폴더를 또 생성해준다.
이제 앞으로 이 폴더 안에서 실습을 진행할 것이다! 환경설정이 역시 제일 귀찮고 까다롭다..
'스터디📖 > G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쉽고 빠른 Go 시작하기 - #2 BANK & DICTIONARY PROJECTS (0) | 2022.04.01 |
---|---|
쉽고 빠른 Go 시작하기 - #1 THEORY (0) | 2022.03.25 |